-
[BOJ] 17144 미세먼지 안녕!알고리즘/알고리즘 풀이 2020. 4. 19. 17:23
문제 설명
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구사과는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려고 한다.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구사과는 집을 크기가 R×C인 격자판으로 나타냈고, 1×1 크기의 칸으로 나눴다. 구사과는 뛰어난 코딩 실력을 이용해 각 칸 (r, c)에 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. (r, c)는 r행 c열을 의미한다.
공기청정기는 항상 1번 열에 설치되어 있고, 크기는 두 행을 차지한다.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칸에는 미세먼지가 있고, (r, c)에 있는 미세먼지의 양은 Ar,c이다.
1초 동안 아래 적힌 일이 순서대로 일어난다.
- 미세먼지가 확산된다. 확산은 미세먼지가 있는 모든 칸에서 동시에 일어난다.
- (r, c)에 있는 미세먼지는 인접한 네 방향으로 확산된다.
- 인접한 방향에 공기청정기가 있거나, 칸이 없으면 그 방향으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.
- 확산되는 양은 Ar,c/5이고 소수점은 버린다.
- (r, c)에 남은 미세먼지의 양은 Ar,c - (Ar,c/5)×(확산된 방향의 개수) 이다.
- 공기청정기가 작동한다.
- 공기청정기에서는 바람이 나온다.
- 위쪽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고, 아래쪽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.
- 바람이 불면 미세먼지가 바람의 방향대로 모두 한 칸씩 이동한다.
- 공기청정기에서 부는 바람은 미세먼지가 없는 바람이고, 공기청정기로 들어간 미세먼지는 모두 정화된다.
다음은 확산의 예시이다.
왼쪽과 오른쪽에 칸이 없기 때문에, 두 방향으로만 확산이 일어났다.
인접한 네 방향으로 모두 확산이 일어난다.
공기청정기가 있는 칸으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.
공기청정기의 바람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순환한다.
방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, T초가 지난 후 구사과의 방에 남아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구해보자.
입력
첫째 줄에 R, C, T (6 ≤ R, C ≤ 50, 1 ≤ T ≤ 1,000) 가 주어진다.
둘째 줄부터 R개의 줄에 Ar,c (-1 ≤ Ar,c ≤ 1,000)가 주어진다.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곳은 Ar,c가 -1이고, 나머지 값은 미세먼지의 양이다. -1은 2번 위아래로 붙어져 있고, 가장 윗 행, 아랫 행과 두 칸이상 떨어져 있다.
출력
첫째 줄에 T초가 지난 후 구사과 방에 남아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출력한다.
입력 예
7 8 1 0 0 0 0 0 0 0 9 0 0 0 0 3 0 0 8 -1 0 5 0 0 0 22 0 -1 8 0 0 0 0 0 0 0 0 0 0 0 10 43 0 0 0 5 0 15 0 0 0 0 0 40 0 0 0 20 0
출력 예
188
풀이
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vector> #include <queue> #define MAX 50 using namespace std; // 동 북 서 남 int dx[] = {1, 0, -1, 0}; int dy[] = {0, 1, 0, -1}; //반시계 방향 인덱스 int ccw[4] = { 0, 1, 2, 3 }; //시계 방향 인덱스 int cw[4] = { 0, 2, 3, 1 }; int R, C, T; int cleanerX, cleanerX2, cleanerY, cleanerY2; int map[MAX][MAX], copyMap[MAX][MAX] = {0, }; queue<pair<int, int>> q; void BFS(int time) { if (time == T) return; for (int i = 0; i < R; i++) { for (int j = 0; j < C; j++) { copyMap[i][j] = map[i][j]; } } //미세먼지 확산 while (!q.empty()) { int y = q.front().first; int x = q.front().second; q.pop(); int temp = copyMap[y][x] / 5; for (int i = 0; i < 4; i++) { int ny = y + dy[i]; int nx = x + dx[i]; // 미세먼지 확산 업데이트 if (0 <= ny && ny < R && 0 <= nx && nx < C) { // 공기청정기 있는 곳이 아니면 if (copyMap[ny][nx] >= 0) { map[ny][nx] += temp; map[y][x] -= temp; } } // 미세먼지가 확산된 배열을 복사하고 for (int i = 0; i < R; i++) { for (int j = 0; j < C; j++) { copyMap[i][j] = map[i][j]; } } // 공기청정기 윗쪽 int y = cleanerY; int x = cleanerX + 1; map[y][x] = 0; // 반시계방향 이동 for (int i = 0; i < 4; i++) { while (1) { int ny = y + dy[ccw[i]]; int nx = x + dx[ccw[i]]; // 공기청정기 위치면 탈출 if (ny == cleanerY && nx == cleanerX) break; if (!(0 <= ny && ny < R && 0 <= nx && nx < C)) break; map[ny][ny] = copyMap[y][x]; y = ny; x = nx; } } // 공기청정기 아랫쪽 y = cleanerY2; x = cleanerX2 + 1; map[y][x] = 0; // 시계방향 이동 for (int i = 0; i < 4; i++) { while (1) { int ny = y + dy[cw[i]]; int nx = x + dx[cw[i]]; // 공기청정기 위치면 탈출 if (ny == cleanerY2 && nx == cleanerX2) break; if (!(0 <= ny && ny < R && 0 <= nx && nx < C)) break; map[ny][nx] = copyMap[y][x]; y = ny; x = nx; } } } } } int main () { ios_base::sync_with_stdio(0); cin.tie(0); cin >> R >> C >> T; for (int i = 0; i < C; i++) { for (int j = 0; j < C; j++) { cin >> map[i][j]; // 미세먼지 위치 if (map[i][j] >= 1) q.push({ i, j }); // 공기청정기 위치 if (map[i][j] == -1) { if (cleanerX == -1) { cleanerX = j; cleanerY = i; } else { cleanerX2 = j; cleanerY2 = i; } } } } BFS(0); int result = 0; for (int i = 0; i < R; i++) for (int j = 0; j < C; j++) if (map[i][j] >= 1) result += map[i][j]; cout << result; return 0; }
리뷰
- 반시계 방향/ 시계 방향 이동을 '동북서남' array를 활용하여 풀어냈다.
- 반시계 방향의 이동은 동 -> 북 -> 서 -> 남
시계 방향의 이동은 동 -> 남 -> 서 -> 북
'알고리즘 > 알고리즘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] 16926 배열 돌리기1 (0) 2021.04.14 [BOJ] 15686 치킨 배달 (0) 2020.04.19 [BOJ] 15685 드래곤 커브 (0) 2020.03.24 댓글
- 미세먼지가 확산된다. 확산은 미세먼지가 있는 모든 칸에서 동시에 일어난다.